못 받은 월급받는 방법-----근로장려금까지

2023. 7. 25. 04:45카테고리 없음

728x90
반응형

밀린 월급 퇴지금 받는 법부터 10% 인상된 근로장려금까지 알려드릴께요

 

임금체불-----밀린 월급 

 

임금 삭감, 상여금 삭감, 퇴직금 드을 동의없이 14일 이내에 주지 않는 것도 임금체불에 해당

억울하게 돈을 받지 못한 경우라면 간이대지급금 을 신청하세요

* 기존 소액체당금 ------> 간이대지급금  명칭 변경

 

간이대지급금?

사업장이 도산하지 않았음에도 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가 국가로부터 받을 수 있는 금액

 

기존 간이대지급금은 도산했거나, 가동 사업장의 퇴직자에게만 지원됨..

임금채권보장법 개정.    2021년 10월 14일부터 퇴직자 재직자 수령 가능 

간이대지급금 상한액 1000만원
지급대상 퇴직자 재직자
간이대지급금 수령 소요기간 2개월
임금 퇴직금만 신청 각각 최대 700만원

지방노동관서에서 체불임금 등 사업주 확인서 가 발급되면 법원의 확정판결 없이도 바로 간이대지급금 지급.

간이대지급금 신청 조건과 방법

사업장이 산재보험을 가입한 사업장

근로자가 퇴직했을 경우 퇴직일을 기준으로 6개월 이상 사업 영위되어야

간이대지급금 신청방법

체불임금 등 사업주 확인서 발급 고용노동부
간이대지급금 신청 근로복지공단

우선 고용노동부에서 체불임금등 사업주확인서 발급받은 후 해당 서류를 사업장 소재지 관할 근로복지공단에 방문 제출,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접수하면 됩니다.

 

최종 3개월 월평균 임금이 400만원 미만인 근로자-----무료법률구조지원 가능

누구나 고용노동부 상담센터(1350) 대지급금 관련 상담 가능

10%인상된 근로장려금 받아 가세요

근로장려금?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또는 사업자(전문직 제외) 가구에 대해 가구원 구성과 총급여액 등에 따라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제도

2023년 근로장려금 정기신청 시작. 올해부터는 근로장려금의 최대 지급 금액이 10% 인상.

 

단독가구 주민등록상 동거 및 부양하는 직계존속이
없는 가구
165만원
홑벌이가구 배우자 또는 부양자녀 또는 70세 아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 285만원
맞벌이가구 신청인과 배우자 각각의 총급여액이
300만원이상인 가구
330만원
정기신청 기간 2023년 5월 1일 ~ 5월 31일 2023년 8월
기간을 놓친 경우 2023년 6월 1일 ~ 11월 30일 10% 감액된 금액이 지급

근로장려금 정기신청 안내문(개별인증번호)를 받았다면 -----ARS 모바일/인터넷 홈텍스 신청

신청안내문 받지 못했다면 -----인터넷, 세무서 방문 서면으로 신청

근로소득자 근로장려금 반기신청제도

하반기 3월에 신청 6월에 지급받음
상반기 9월에 신청 12월에 지급 받음

중소기업 재직자 소득세 감면 받으세요

2018년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제도 개정

중소기업에 5년 이내로 근무한, 만 15 ~ 34세 이하의 직장인이면 소득세 감면 가능.

감면 기간 5년, 감면율 90% (연간 150만원)

중소기업이지만 감면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업종

공기업, 보건업, 법무 회계 관련 서비스업, 금융 보험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기술, 직업훈련 학원 제외), 기타 개인 서비스업

 

728x90
반응형